여산 숲정이 성지
여산 숲정이는 호남의 관문으로 일찍이 천주교가 전래되어 수많은 신앙 공동체와 많은 순교자들을 배출한 여산의 대표적인 순교성지이다. 여산 숲정이 순교성지를 100여m 앞두고 오른쪽에 시골 면단위에서는 볼 수 없는 큰 고딕식 성당이 보인다. 필자는 새로 나온 성지순례 책자에 소개된 여산 하늘의 문 성당이라는 것을 직감했다. 여산 숲정이에 도착하니 “여산 순교 성지”라고 쓰인 대형 기념비가 눈에 들어왔다. 이 기념비에는 “이곳은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금산, 진산, 고산에서 잡혀온 신자들이 순교한 곳으로 기록만도 22명이며 그 외에 많은 신자들이 순교한 것이다. 이곳에서 순교한 신자들 중 17명이 고산 넓은 바위 사람들이었다.
특히 57세 고령이었던 김성첨 일가 6명의 치명은 대아리 저수지에 담겨 버린 ”넓은 바위“의 대표적인 애화로 남아 있다. 김성첨은 조카 김명언을 비롯해 정규, 정언 등 3형제와 그 아들 3대에 걸치는 6명을 포함해 한 마을 17명의 믿음이 모두 자기가 가르친 것이라고 진술했다. "순교하신 분들의 무덤은 천호산 기슭 천호성당 부근에 있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여산성지는 현재 “차명일기”등에 기록된 순교자가 25명에 이르고 구전으로는 50여 명 이상 신자들이 참수, 교수는 물론 백지사형(白紙死刑)으로도 죽임을 당한 곳이다.
백지 사형이란 붙잡혀온 교우들의 손을 뒤로 묶고 얼굴에 물을 뿜고 백지를 여러 번 붙여 질식시키는 가혹한 처형 방법으로 수많은 교우들이 이 방법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이곳 여산 숲정이에서 치명한 이들 가운데 10여명의 시신은 신도들이 몰래 숨어 있다가 자루에 담아서 야음에 천호산으로 짊어지고 와서 안장시켰다고 한다. 천호성지 성인들 묘소 아래 무명 순교자들의 묘소를 볼 수 있다. 그 순교자들 모두가 이곳 여산 숲정이에서 순교한 분들이다.
여산 본당은 선조들이 신앙을 증거 했던 숲정이를 중심으로 부근 전답 4천여 평을 사들여 성지개발을 해왔다. 여산의 성지 개발 사업은 여러 해를 두고 숲정이의 옛 모습을 재현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여산성지는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은 순교자들이 하늘나라로 들어간 “하늘의 문”이다. 순교자들은 박해의 모진 고난 가운데 성령의 도우심으로 마지막 순교의 순간까지 신앙을 고백하였다.
특별히 성경에 나오는 성령의 모습을 순교자들이 직접 증언한 ‘성령의 순교자’라 할 수 있는데, 참수형을 당한 숲정이는 ’불의 순교자‘, 수장형을 당한 배다리는 ’물의 순교자‘, 백지사형을 당한 백지사 터는 ’바람의 순교자‘로 세상의 힘이 성령의 활동을 막을 수 없음을 드러내는 곳이다. 여산 숲정이 성지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125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산에 위치한 여산 '하늘의 문' 성당을 입구에서 바라보니 그 어느 성당보다 아름다웠다. 그 절묘함과 오묘함에 마음을 빼앗겨 버렸다. 여산 순교성지는 바로 천국으로 가는 문 하늘의 문이었다.
아름다운 여산 하늘의 문 성당
여산 성당 내부
백지사 터